FIVB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IVB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는 국제 배구 연맹(FIVB)이 주관하는 남자 배구 국가대항전으로, 1949년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에서 첫 대회가 개최되었다. 초기에는 유럽 국가 위주로 참여했으나, 현재는 24개국이 본선에 진출하여 경쟁하며, 개최국은 자동 출전권을 얻는다. 대회는 예선 라운드와 결선 라운드로 진행되며, 결선 라운드에서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우승팀을 가린다. 소련, 이탈리아, 브라질, 폴란드 등이 우승을 차지했으며, 2025년 대회부터는 32개 팀이 참가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 배구 연맹 - FIVB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FIVB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는 국제 배구 연맹이 주관하는 여자 배구 국가대항전으로, 1952년 시작되어 4년 주기로 개최되며, 러시아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국제 배구 연맹 - FIVB 남자 배구 월드컵
FIVB 남자 배구 월드컵은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 사이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1965년 창설되어 초기에는 올림픽 다음 해에 개최되었고 1977년부터 일본에서 영구적으로 개최되었으며 1991년부터는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역할도 겸했으나 2019년 대회를 마지막으로 폐지 논의 후 2022년에 재개최되었다. - FIVB 세계 배구 선수권 대회 - 2014년 FIVB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국제 배구 연맹 주관으로 이탈리아에서 개최된 2014년 FIVB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는 대륙 예선을 통과한 23개국과 개최국 이탈리아를 포함한 총 24개국이 참가하여 미국이 우승, 중국이 준우승, 브라질이 3위를 기록했다. - FIVB 세계 배구 선수권 대회 - 2018년 FIVB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2018년 일본에서 국제 배구 연맹 주최로 열린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는 24개국이 참가하여 세르비아가 우승, 중국이 3위를 차지했으며 대한민국은 1차 라운드에서 탈락했다. - 1949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트로페 데 샹피옹
트로페 데 샹피옹은 프랑스 리그 1 우승팀과 쿠프 드 프랑스 우승팀이 시즌 개막 전에 단판 승부로 우승팀을 결정하는 슈퍼컵 대회로, 1949년 기원을 가지며 2009년부터 프랑스 외 지역에서도 개최되고 파리 생제르맹 FC가 최다 우승팀이다. - 1949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NASCAR 컵 시리즈
NASCAR 컵 시리즈는 전미 스톡 자동차 경주 협회에서 주관하는 최상위 스톡카 경주 시리즈로, 1949년 시작하여 스폰서십에 따라 명칭이 변경되어 왔으며, 오벌 트랙과 로드 코스에서 드라이버 챔피언십과 오너 챔피언십을 통해 최고의 드라이버와 팀을 가린다.
FIVB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 |
---|---|
스포츠 대회 시리즈 | |
대회 이름 | 배구 남자 세계 선수권 대회 |
시작 연도 | 1949년 |
주최 | 국제 배구 연맹 |
참가 팀 수 | 32 |
최다 우승팀 | (6회) |
사이트 | |
일반 정보 | |
영어 명칭 | FIVB Men's World Championship |
종목 | 배구 |
설립 연도 | 1949년 |
주관 | FIVB |
참가국 수 | 본선 24개국 |
참가 국가 | FIVB 가맹국 |
최근 시즌 | 2018년 FIVB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
최근 우승팀 | (2회) |
최다 우승팀 | (6회) |
2. 역사
FIVB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의 첫 대회는 1949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개최되었으며, 경기장은 야외 테니스 코트를 재활용했다. 당시 참가국은 유럽 10개국으로 제한되어 사실상 '유럽 선수권 대회'와 같았다.[1]
일본은 1960년 대회에 처음 출전하여 8위를 기록했고, 2018년까지 총 15번 출전했다(2014년 불참). 1970년 대회와 1974년 대회에서 3위를 차지하여 동메달을 획득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 일본은 1998년과 2006년에 대회를 개최하기도 했다.[1]
2. 1. 기원
세계 선수권 대회는 FIVB이 1947년에 설립된 이후 FIVB 주관으로 1949년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에서 처음 개최되었다. 첫 대회는 유럽 국가들만 참가하였다. 제1회 대회는 야외 테니스 코트를 재활용한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총 10개국이 참가하여 사실상 '유럽 선수권 대회'였다.[1]2. 2. 발전 과정
세계 선수권 대회는 FIVB이 1947년에 설립된 이후 FIVB 주관으로 1949년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에서 처음 개최되었다. 처음에는 유럽 국가들만 참가하였다.[1]3년 후, 여자 대회가 신설되었고 아시아 국가들이 참가하기 시작하면서 대회가 4년 주기로 변경되었다. 이후 남미, 중앙 아메리카, 북미 팀들도 참가하게 되었다.[1]
1964년 올림픽에 배구가 정식 종목으로 추가되면서, 세계 선수권 대회와 올림픽이 2년마다 번갈아 열리도록 세계 선수권 대회도 4년 주기로 개최되었다. 1970년 대회부터는 아프리카 팀도 참가하여, 5개 대륙 연맹의 회원들이 모두 참여하는 진정한 의미의 세계 선수권 대회로 발전하였다.[1]
참가 팀 수는 계속 변화하였다. 1970년대에는 23개(여자) 또는 24개(남자) 팀이 참가했고, 1980년대 중반부터 1994년까지는 16개 팀으로 줄었다가, 1998년 대회부터 24개 팀으로 확대되었다.[1]
2. 3. 우승국 변천사
초기에는 소련과 체코슬로바키아가 FIVB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를 지배했다. 처음 두 번의 대회는 소련이 우승했고, 1956년에는 체코슬로바키아가 우승했다. 이후 소련과 체코슬로바키아가 번갈아 가며 우승을 차지하다가, 1966년 대회에서 체코슬로바키아가 다시 한번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1]1970년에는 동독이 불가리아를 꺾고 처음이자 유일한 우승을 차지했다. 1974년에는 폴란드가 소련을 꺾고 우승하며 새로운 강호로 떠올랐다.[1]
1986년에는 미국이 소련을 꺾고 우승하며 배구 강국으로 자리매김했다. 1990년대에는 이탈리아가 로렌조 베르나르디와 안드레아 지아니를 앞세워 3회 연속(1990, 1994, 1998) 우승을 차지하며 독주했다.[1]
2000년대에는 브라질이 3회 연속(2002, 2006, 2010) 우승을 차지하며 최강팀으로 군림했다. 2014년과 2018년에는 폴란드가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1]
개최 연도 | 개최국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
---|---|---|---|---|---|---|---|---|
1949년 | 체코슬로바키아 | 소련 | 체코슬로바키아 | 불가리아 | 루마니아 | |||
1952년 | 소련 | 소련 | 체코슬로바키아 | 불가리아 | 루마니아 | |||
1956년 | 프랑스 | 체코슬로바키아 | 루마니아 | 소련 | 폴란드 | |||
1960년 | 브라질 | 소련 | 체코슬로바키아 | 루마니아 | 폴란드 | |||
1962년 | 소련 | 소련 | 체코슬로바키아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
1966년 | 체코슬로바키아 | 체코슬로바키아 | 루마니아 | 소련 | 동독 | |||
1970년 | 불가리아 | 동독 | 불가리아 | 일본 | 체코슬로바키아 | |||
1974년 | 멕시코 | 폴란드 | 소련 | 일본 | 동독 | |||
1978년 | 이탈리아 | 소련 | 이탈리아 | 쿠바 | 대한민국 | |||
1982년 | 아르헨티나 | 소련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일본 | |||
1986년 | 프랑스 | 미국 | 소련 | 불가리아 | 브라질 | |||
1990년 | 브라질 | 이탈리아 | 쿠바 | 소련 | 브라질 | |||
1994년 | 그리스 | 이탈리아 | 네덜란드 | 미국 | 쿠바 | |||
1998년 | 일본 | 이탈리아 | 유고슬라비아 | 쿠바 | 브라질 | |||
2002년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러시아 | 프랑스 | 유고슬라비아 | |||
2006년 | 일본 | 브라질 | 폴란드 | 불가리아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
2010년 | 이탈리아 | 브라질 | 쿠바 | 세르비아 | 이탈리아 | |||
2014년 | 폴란드 | 폴란드 | 브라질 | 독일 | 프랑스 | |||
2018년 | 이탈리아/ 불가리아 | 폴란드 | 브라질 | 미국 | 세르비아 | |||
2022년 | 폴란드/ 슬로베니아 | |||||||
2025년 |
FIVB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의 현행 대회 방식은 다음과 같다.
3. 현행 대회 방식
대회 예선은 2년에 걸쳐 진행된다.[1] 본선은 예선 라운드와 결선 라운드로 구성되며, 참가국 수에 따라 중간 라운드를 둘 수도 있다.[1] 선수단은 12명으로 구성되며, 부상 선수가 발생해도 교체는 허용되지 않는다.[1]
3. 1. 출전 자격
FIVB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본선에는 24개국이 출전하며, 개최국은 자동 진출권을 얻는다.[1] 나머지 국가는 대륙별 예선을 거쳐 본선 진출권을 획득한다. 대륙별 본선 진출국 수는 국제 배구 연맹(FIVB)에 의해 결정된다.[1]
대회 본선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FIVB에서 관리하는 세계 랭킹에 따라 예선 대회에 참가해야 한다. 랭킹이 낮은 국가는 최대 3개의 대회에, 랭킹이 높은 국가는 1개의 대회에 참가하여 탈락하지 않아야 한다.
출전 팀 수는 여러 번 변경되었지만, 2002년부터 현재 24팀이 출전하고 있다.[1] 개최국과 전 대회 우승팀이 출전할 수 있으며, 각 대륙별 예선을 통과한 상위 팀이 출전하게 된다. 출전 가능한 팀 수의 각 대륙별 할당은 FIVB 랭킹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다만, 2022년 대회는 예선이 특별히 치러지지 않고, 개최국과 2018년 대회 우승팀 외에, 2021년 각 대륙 선수권 대회 우승팀과 준우승팀에게 출전권이 주어졌으며, 그 외 팀들은 FIVB 랭킹 상위 팀에게 출전권이 주어졌다.[1]
3. 2. 경기 방식
대회 본선은 예선 라운드와 결선 라운드로 구성된다. 참가국 수에 따라서는 1개 이상의 중간 라운드를 둘 수도 있다.[1] 예선 라운드에서 참가국은 복수의 조로 배정된다. 각 조에서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가 치러진다.[1]
예선 라운드가 종료된 시점에서 각 조의 상위 n개국은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며, 진출에 실패한 팀들은 대회에서 탈락한다. n의 값은 당해 대회의 참가국 수, 결선 라운드 방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된다.[1]
FIVB는 지금까지 결선 라운드에서 다양한 방식들을 도입했다. 최근의 경향은 결선 라운드에 올림픽 배구의 형식을 따르는 준결승전과 결승전이 반드시 치러지는 것이다.[1] 8강전에 이르러 복수의 그룹으로 참가국을 나눈 뒤 라운드 로빈을 진행하는 경우도 있으며, 또는 바로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후자의 경우 예선을 통과한 참가국들을 8강으로 추리기 위한 중간 라운드를 둘 수도 있다.[1]
경기 방식은 해마다 바뀌지만, 2025년 대회에서는 출전하는 32개 팀이 1차 라운드에서 4팀씩 8개 풀로 나뉘어, 상위 16개 팀(각 풀 상위 2팀)이 최종 라운드의 녹아웃 방식 토너먼트에 진출하게 되었다.[1]
3. 3. 선수단 구성
선수단 구성에는 매우 엄격한 규칙이 적용된다. 선수단은 12명으로만 구성되며, 부상 시에도 선수 교체는 허용되지 않는다.[1]
4. 역대 대회 결과
연도 | 개최국 | 참가국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
1949 | 체코슬로바키아 | 10 | 소련 | 체코슬로바키아 | 불가리아 | 루마니아 |
1952 | 소련 | 11 | 소련 | 체코슬로바키아 | 불가리아 | 루마니아 |
1956 | 프랑스 | 20 | 체코슬로바키아 | 루마니아 | 소련 | 폴란드 |
1960 | 브라질 | 14 | 소련 | 체코슬로바키아 | 루마니아 | 폴란드 |
1962 | 소련 | 21 | 소련 | 체코슬로바키아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1966 | 체코슬로바키아 | 22 | 체코슬로바키아 | 루마니아 | 소련 | 동독 |
1970 | 불가리아 | 24 | 동독 | 불가리아 | 일본 | 체코슬로바키아 |
1974 | 멕시코 | 24 | 폴란드 | 소련 | 일본 | 동독 |
1978 | 이탈리아 | 24 | 소련 | 이탈리아 | 쿠바 | 대한민국 |
1982 | 아르헨티나 | 24 | 소련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일본 |
1986 | 프랑스 | 16 | 미국 | 소련 | 불가리아 | 브라질 |
1990 | 브라질 | 16 | 이탈리아 | 쿠바 | 소련 | 브라질 |
1994 | 그리스 | 16 | 이탈리아 | 네덜란드 | 미국 | 쿠바 |
1998 | 일본 | 24 | 이탈리아 | 유고슬라비아 | 쿠바 | 브라질 |
2002 | 아르헨티나 | 24 | 브라질 | 러시아 | 프랑스 |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
2006 | 일본 | 24 | 브라질 | 폴란드 | 불가리아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2010 | 이탈리아 | 24 | 브라질 | 쿠바 | 세르비아 | 이탈리아 |
2014 | 폴란드 | 24 | 폴란드 | 브라질 | 독일 | 프랑스 |
2018 | 이탈리아, 불가리아 | 24 | 폴란드 | 브라질 | 미국 | 세르비아 |
5. 기록과 통계
국제 배구 연맹(FIVB)은 전임국의 기록 승계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인정하고 있다.[1]
- 는 의 기록을 승계한다.
- 는 의 기록을 승계한다.
- 은 의 기록을 승계한다.
- 는 및 의 기록을 승계한다.
5. 1. 국가별 우승 횟수
우승국 | 우승 횟수 |
---|---|
소련 | 6 |
브라질 | 3 |
이탈리아 | 3 |
체코슬로바키아 | 2 |
폴란드 | 2 |
동독 | 1 |
미국 | 1 |
5. 2. 국가별 메달 집계
팀 | 우승 | 준우승 | 3위 |
---|---|---|---|
Сборная России по волейболу|러시아ru | 6 | 3 | 3 |
Nazionale di pallavolo maschile dell'Italia|이탈리아it | 4 | 1 | 0 |
Seleção Brasileira de Voleibol Masculino|브라질pt | 3 | 3 | 1 |
Reprezentacja Polski w piłce siatkowej mężczyzn|폴란드pl | 3 | 2 | 0 |
Československá volejbalová reprezentace mužů|체코cs | 2 | 4 | 0 |
United States men's national volleyball team|미국영어 | 1 | 0 | 2 |
Volleyballnationalmannschaft der Männer der DDR|동독de | 1 | 0 | 0 |
Selección de voleibol de Cuba|쿠바es | 0 | 2 | 2 |
Echipa națională de volei masculin a României|루마니아ro | 0 | 2 | 2 |
Национален отбор по волейбол на България|불가리아bg | 0 | 1 | 4 |
Мушка одбојкашка репрезентација Србије|세르비아sr | 0 | 1 | 1 |
Nederlands volleybalteam (mannen)|네덜란드nl | 0 | 1 | 0 |
バレーボール全日本男子|일본일본어 | 0 | 0 | 2 |
Selección de voleibol de Argentina|아르헨티나es | 0 | 0 | 1 |
Équipe de France de volley-ball|프랑스프랑스어 | 0 | 0 | 1 |
Deutsche Volleyballnationalmannschaft der Männer|독일de | 0 | 0 | 1 |
5. 3. 국가별 4강 기록
순위 | 국가 | 우승 (최근) | 준우승 (최근) | 3위 (최근) | 4위 (최근) |
---|---|---|---|---|---|
1 | 6회 (1982) | 3회 (2002) | 3회 (1990) | 0회 | |
2 | 3회 (2010) | 2회 (2014) | 0회 | 3회 (1998) | |
3 | 3회 (1998) | 1회 (1978) | 0회 | 1회 (2010) | |
4 | 2회 (1966) | 4회 (1962) | 0회 | 1회 (1970) | |
5 | 2회 (2014) | 1회 (2006) | 0회 | 2회 (1960) | |
6 | 1회 (1970) | 0회 | 1회 (2014) | 2회 (1974) | |
7 | 1회 (1986) | 0회 | 1회 (1994) | 0회 | |
8 | 0회 | 2회 (1966) | 2회 (1962) | 2회 (1952) | |
9 | 0회 | 2회 (2010) | 2회 (1998) | 1회 (1994) | |
10 | 0회 | 1회 (1970) | 4회 (2006) | 1회 (1962) | |
11 | 0회 | 1회 (1998) | 1회 (2010) | 2회 (2006) | |
12 | 0회 | 1회 (1994) | 0회 | 0회 | |
13 | 0회 | 0회 | 2회 (1974) | 1회 (1982) | |
14 | 0회 | 0회 | 1회 (2002) | 1회 (2014) | |
15 | 0회 | 0회 | 1회 (1982) | 0회 | |
16 | 0회 | 0회 | 0회 | 1회 (1978) |
5. 4. 국가별 개최 횟수
다음은 역대 FIVB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를 개최한 국가들의 목록이다. 공동 개최는 * 표시로 나타낸다.개최국 | 개최 횟수 | 개최 연도 |
---|---|---|
이탈리아 | 3 | 1978, 2010, 2018* |
소련 | 2 | 1952, 1962 |
체코슬로바키아 | 2 | 1949, 1966 |
프랑스 | 2 | 1956, 1986 |
브라질 | 2 | 1960, 1990 |
아르헨티나 | 2 | 1982, 2002 |
일본 | 2 | 1998, 2006 |
불가리아 | 2 | 1970, 2018* |
멕시코 | 1 | 1974 |
그리스 | 1 | 1994 |
폴란드 | 1 | 2014 |
5. 5. 역대 대회 MVP
대회 | MVP |
---|---|
1949년 ~ 1978년 | 별도의 시상 없음 |
1982년 | 미상 |
1986년 | Philippe Blain|필립 블랭프랑스어 |
1990년 | Andrea Lucchetta|안드레아 루체타it |
1994년 | Lorenzo Bernardi|로렌조 베르나르디it |
1998년 | Rafael Pascual|라파엘 파스쿠알es |
2002년 | Marcos Milinkovic|마르코스 밀린코비치es |
2006년 | Gilberto Amauri de Godoy Filho|지바pt |
2010년 | Murilo Endres|무릴로 엔드레스pt |
2014년 | Mariusz Wlazły|마리유시 블라즐리pl |
2018년 | 미상 |
6. 대한민국 관련 기록 (별도 주제)
대한민국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1978년 이탈리아 대회에서 4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당시 김호철 세터를 중심으로 강만수, 장윤창 등의 선수들이 활약하며 세계 배구계에 대한민국 배구의 저력을 알렸다. 하지만 이후 대회에서는 4강 진출에 실패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